- 중국산 수입김치 15개 제품 식중독균 검출
- 중국 현지 김치 제조과정에서 위생관리 미흡으로 검출됐을 것으로 판단
- 부적합 2회이상 업체가 5개나 된다
음식가지고 장난치는 사람 천벌받아야겠죠?
필자는 식당가면 반찬으로 나오는 김치는 잘 먹지 않는다.
이게 국내산이면 다행인데 대부분 중국산이기 때문에 믿지 못하는 것이다.
얼마전 기사에 알몸으로 김치를 절이고 하는 것을 본 기사를 기억할 것이다.
물론 중국에서 해명은 했지만 찝찝하다.
워낙 못 믿을 나라여서 그런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5&aid=0001440106
‘알몸 배추’ 파문 그후…중국산 김치 15개서 식중독균[목록]
‘알몸 김치’ 동영상 파문 이후 강화된 중국산 김치의 통관 검사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된 제품이 무더기로 나왔다. 일부 중국산 절임 배추에서는 허용되지 않은 보존료가 검출됐고, 냉동 다진
news.naver.com
일본 방사능 유출도 걱정되는 데 중국산 김치까지 저러니..
이번에 중국산 김치에서 식중독균이 검출?
이번에 중국산 김치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되었다는 기사가 핫하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322902&plink=ORI&cooper=NAVER
일부 중국산 김치서 식중독균 검출…반송 · 폐기 조치
수입 신고된 중국산 김치 제품 중 일부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 식약처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중국산 김치를 반송 또는 폐기 조치하도록 했습니다.
news.sbs.co.kr
식약처 보도자료에 따르면"수입 신고된 중국산김치 289개 제품(55개 제조업소)에 대해 보존료, 타르색소, 식중독균인 여시니아 등 5개 항목*을 검사했으며, 그 결과 15개 제품(11개제조업소)이 여시니아** 검출로 부적합했습니다.
** 여시니아엔테로콜리티카 : 물 또는 토양 등 자연환경에 널리 존재하고, 0~5℃의 저온에서도 발육 가능한 식중독균으로 주요 증상으로 설사, 복통, 두통 등이 있음 |
그리고 수입 신고돼 5개 항목*을 검사한 중국산 절임배추**4개 제품(2개 제조업소) 중 2개 제품(1개 제조업소)에서는 허용되지않은 보존료가 검출돼 부적합했습니다. (여기서 절임배추는 김치 제조용 절임배추는 아니랍니다)
또!!! 국내 유통되고 있는 수입김치 30개 제품과 김치 원재료(고춧가루, 다진 마늘 등) 120개 제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냉동 다진 마늘 1건에서 세균수 기준을 초과했습니다.
식중독균이 검출된 해외업체와 제품명은??
해외업체와 제품명은 그림파일로 공개하면...
그리고 부적합 두번이나 걸린 업체를 공개하면 아래 사진
통관단계 부적합 수입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사항은 수입식품정보마루
(impfood.mfds.go.kr → 안전정보 → 수입식품부적합)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impfood.mfds.go.kr/CFBBB02F02/getCntntsDetail?page=1&limit=10&cntntsView=list&cntntsSn=387991&searchCondition=&searchInpText=
홈 > 알림자료 > 수입식품뉴스 > 보도자료
수입김치 통관.유통단계 검사 강화 결과 및 후속조치
impfood.mfds.go.kr
네이버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된 중국산 김치 검색해보니...
네이버에서 혹시나 아직도 파나 싶어서 검색해보니 거의 다 삭제된 페이지입니다라고 뜹니다.
이미 판매중지를 했겠죠.
업체이름이 모두 공개가 되었으니...
혹 하나가 걸려서 여기 들어가봤더니 ....
검색한 업체이름은 공개할 수는 없지만...
판매후기는 상당히 좋네요...맛있다고ㅎㅎ
아래 사진은 작년 20년 구매후기였다.